자본잠식 3

자본잠식의 개념과 기업이 자본잠식을 회피하는 방법

자본잠식률이 50%가 넘어가면 관리종목으로 지정되고 100%가 되면 상장폐지가 됩니다. 오늘은 자본잠식 개념과 기업들이 자본잠식을 회피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목차 1. 자본의 여러 가지 명칭과 의미 2. 자본금이란? 3. 자본잠식 개념 4. 자본잠식 회피하는 방법 자본의 여러 가지 명칭과 의미 자본은 조건에 따라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불립니다. 자산에서 부채를 탕감했다는 의미의 '순자산'이나 남에게 조달한 타인자본과 비교해서 주인 스스로 내놓은 자본을 의미하는 '자기 자본'도 모두 자본을 의미합니다. 즉, '자본', '순자산', '자기자본'이 모두 같은 의미입니다. 한데 자본금은 이들과는 다른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산에서 부채를 탕감한 자본은 회사의 주인인 주주가 가져갈 수 있는..

주식/투자방법 2024.02.27

유상증자는 호재일까 악재일까?

목차 1. 유상증자는 왜 할까? 2. 기업이 유상증자 할 때 주의사항 3. 자본잠식의 판단시점 유상증자는 왜 할까? 유상증자 보통 시장에서는 일반적으로 악재로 반응합니다. 새로 조달한 자금이 설비투자나 연구개발비로 쓰이는 경우에는 호재가 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주가가 하락합니다. 새로 발행하는 주식이 기존 주식과 같은 권리를 가지면서도 더 싼 가격에 발행되기 때문입니다. 만약 본인이 새로 장만한 핸드폰이 다음 주에 갑자기 20%로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된다면 기분이 나쁘겠죠. 그렇다면 기업은 이렇게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증자를 무슨 목적으로 하는 걸까요? 회사가 유상증자할 때는 기본적으로 그 목적을 공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기업이 유상증자 할 때 주의사항 태양기전이라는 회사의 공시 내용을 예를 들어..

주식/투자방법 2024.02.25

국내 주식 상장폐지 조건 완벽 정리

증권시장에 상장된 회사 중 9년간 적자를 내도 상장폐지가 되지 않는 종목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상장폐지 기준은 대체 무엇일까요? 나의 소중한 자산을 휴짓조각으로 만들고 싶지 않다면 반드시 확실히 짚고 넘어가야 될 것입니다. 관리종목에 편입되거나 상장폐지가 되는 기준은 거래량 미달, 공시의무 위반, 시가총액 미달 등 여러 가지 조건들이 있습니다. 이와 같은 조건들 중에서 재무와 관련된 조건은 아래와 같이 4가지가 있습니다. 목차 1. 국내 시장 상폐 조건 국내 시장 상폐 조건 1. 매출액(지주회사는 연결기준) 코스피 : [관리] 50억원 미만, [ 상장폐지 ] 2년 연속 코스닥 : [관리] 30억원 미만, [ 상장폐지 ] 2년 연속 2.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 사업손실 코스피 : 해당 없음 코스닥 : [관리]..

주식/투자방법 2024.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