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차트 공부

거래량 분석 방법 2

워렌주니어 2024. 1. 28. 23:41
반응형

대표이미지

 

오늘은 저번 주식 차트 분석 기법 : 거래량(1) 포스트에 이어서 주식 차트 분석에 있어서 꼭 필요한 지표인 거래량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거래량과 캔들의 관계


2. 이평선과 거래량의 관계


3. 속임수 거래량

 

거래량과 캔들의 관계

  • 고점에서의 장대양봉은 조심해야 합니다.
  • 캔들이 길어지면서 거래량이 터지면 매도신호로 보아야 합니다.
  • 단봉 캔들이 나오면서 거래량이 줄어든다면 매수 기회가 다가온다는 신호입니다.
  • 끊임없이 하락하다가 거래량이 터지면서 꼬리 캔들이 나오면 매수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 고점에서 거래량이 터지면서 장대양봉 캔들이 나온다면 분할매도로 비중을 줄이는 것이 맞습니다.
  • 바닥에서 횡보하면서 거래량이 완전히 죽은 상태여도 OBV가 늘어나고 있다면 하방매집이라고 봐야 합니다.
  • 속임수 음봉 캔들은 위치가 어디 있느냐에 따라서 거래량이 달라집니다. 저점에서 거래량이 터지는 것이 좋고 중간지점에서 나오는 속임수 캔들은 거래량이 적어야 합니다. 고점에서 발생하는 것은 속임수라기보단 음봉이니, 거래량이 터지면서 매도하는 것이 맞습니다. 만약 고점의 음봉에서 거래량이 안 터진다면 단기적 상승이 한두 번 나올 가능성이 있으니, 그때는 매도해야 합니다.

이평선과 거래량의 관계

  • 240일선을 돌파할 때 강한 거래량이 터져야 상승으로 추세전환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지수가 하락하다가 20일선을 돌파하는 자리에서는 거래량이 터져야 좋으나 돌파 후 눌림이 나오는 자리에서 20일선을 지지할 때는 거래량이 줄어야 좋습니다.
  • 골든크로스가 나오는 자리는 기본적으로 거래량이 터져야 합니다.
  • 어떤 이평선이든, 이평선을 돌파한 캔들이 나온 이후에 눌림이 나온다면 눌림 구간에서는 거래량이 줄어야 합니다.

속임수 거래량

  • 고점에서 거래량이 터지지 않고 지속하락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점에선 거래량이 터져야 하는데, 줄줄 새는 것처럼 하락이 나올 때는 일단 전저점을 지지하지 못하면 매도하는 것이 맞습니다. 왜냐하면 이렇게 조금씩 하락하다가 갑자기 한 번에 거래량이 터지면서 하락이 나온다면 대응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거래량이 터지지 않고 계속해서 하락한다면 이 종목의 시세분출이 완전히 끝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고, 기간 가격 조정이 끝나는 시점을 기다렸다가 재공략이 가능합니다.
  • 바닥에서 거래량 상승 없이 상승하는 경우는 큰 상승이 나오기보다는 조금씩 우상향 하는 차트가 많습니다. 보통 이런 차트 형태에선 한 번 눌림이 나올 수 있습니다. 그럴 때 오히려 매수 기회로 삼으면 큰 상승이 나올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까지 2회에 걸쳐 거래량에 대해 설명했는데요. 다음에는 급등주 매매에서 지켜야 될 규칙들에 대해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하지만 이런 규칙들도 수학공식들처럼 완전히 맞는 것이 아니고 그저 참고할만한 방안 중에 하나인 것이니 참고는 하되 맹신은 안 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