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국내주식

LX세미콘 주가전망 : 아이폰 및 아이패드 향 매출 증가예상

워렌주니어 2024. 1. 25. 23:38
반응형

대표이미지

 

작년부터 고객사 재고 축적으로 인해 주가 조정을 받았던 LX세미콘이 고객사 재고 물량 소진과 아이폰 및 아이패드 패널이 OLED로 전환이 가시화되면서 그에 대한 기대감으로 최근 다시 반등 추세로 돌아섰습니다.

 

이제 디스플레이패널은 LCD에서 OLED로 트렌드가 바뀌어가고 있는데요. OLED에서도 LX세미콘의 역할은 무엇인지 비중은 얼마나 차지하는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주요 사업


2. 최근 이슈 정리


3. 기업실적 및 매수의견

 

주요 사업

스템반도체는 연산/제어 등 정보처리 기능을 하는 반도체로 가전, 자동차, 모바일 등 용도별로 특화된 시장을 형성하고 있어 다품종 맞춤형 시장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 설계와 생산이 분업화되어 있습니다.

 

LX세미콘의 주요 제품은 Display Panel 구동 부품 중 Driver-IC(DDI 등), T-Con(Timing Controller), PMIC(Power Management IC) 제품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신규 성장 동력으로 MCU, 전력반도체, 방열기판 사업을 추진하여 사업포트폴리오 다변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LX세미콘의 주요 제품은 패털을 구동하는 Driver-Ic이며, 당기 전체 매출액의 89.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LX세미콘 주요 매출액
LX세미콘 주요 매출액

 

LX세미콘의 주요제품인 DDI(Display Driver IC)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투입되는 핵심 부품으로 전방산업인 디스플레이 산업의 영향을 받습니다.

 

현재 디스플레이 산업은 LCD 패널에서 OLED패널로 트렌드가 전환되고 있습니다. OLED는 LCD보다 하이퀄리티의 기술이 요구되며, 더 많은 부품이 필요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전환이 이루어지면 DDI 시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DDI 연도별 시장 규모
DDI 연도별 시장 규모

 

시장 조사기관인 Omdia에 따르면 22년 기준, LX세미콘은 글로벌 반도체 업체 순위 42위를 기록하였고 DDI 업체 기준 Top 3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매출보다는 새로운 기술의 확보가 회사의 경쟁우위를 판가름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자리 잡고 있는 만큼 LX세미콘은 OLED/P-OLED 등 프리미엄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고 있으며, DISPLAY 외에도 가전, 자동차, 배터리 등 새로운 영역으로의 사업 확장을 지속적으로 시도하고 있습니다.

 

 

최근 이슈 정리

LG디스플레이외 매출처 다각화

LX세미콘이 지난해 해외 고객사 확보로 주요 고객사인 LG디스플레이에 대한 매출 의존도를 줄인데 이어, 삼성디스플레이까지 고객사로 확보하면서, 수익처 다각화 기반을 마련했단 분석이 나옵니다. OLED 세계시장 점유율에서 1,3위를 차지하고 있는 기업이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기 때문에 향후 LX세미콘의 매출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LG디스플레이가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6.7%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9년도부터 21년까지의 LG디스플레이향 매출 비중이 70%대였던 것을 생각하면 LG디스플레이향 매출 비중이 줄어든 것을 체감할 수 있습니다.

LX는 LG그룹에서 계열분리된 그룹이기도 하고 사업적인 측면에서도 LG디스플레이는 LX세미콘의 주요 고객사이기 때문에 LG디스플레이에 대한 매출 의존도가 높았던 것은 어쩔 수 없었습니다.

LG그룹에서 분리된 이후로 매출처 다각화를 위해 노력한 결과 중국 등 해외 거래선에서 추가 고객사를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2021년 중국향 매출은 8,250억 원으로 전년 5,154억 원 대비 60.1% 늘었고, 22년에도 이 같은 흐름에 지속되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최근에는 삼성디스플레이와 DDI 연구 개발 프로젝트를 시작하였고, 연구 중인 DDI는 25년부터 매출에 나타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스마트폰 및 IT(맥북, 아이패드) OLED 산업전망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은 23년 11.9억대, 24년 12.3억대로 전망됩니다. 23년 하반기부터 회복세 진입이 예상됩니다.

OLED 스마트폰 출하량은 23년 6.3억대, 24년 6.7억대로 성장이 예상되고, 23년 하반기 중국을 포함한 스마트폰 시장의 회복 및 중소형 OLED 패널 가격 안정화에 힘입어 OLED 스마트폰 성장세가 재개될 전망입니다.

OLED 스마트폰 출하량 및 침투율 추이
OLED 스마트폰 출하량 및 침투율 추이

 

23년 하반기부터 OLED 아이패드 기대감이 반영될 예정입니다. IDC에 따르면 22년 글로벌 태블릿 출하량은 전년 동기대비 -4% 하락했으나, 애플 아이패드 출하량은 전년동기대비 +5% 성장했을 뿐만 아니라 시장점유율이 37%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였습니다.

 

최근 아이패드 프로 모델의 비중이 15~20%인 것을 고려 시, 2024년 OLED 아이패드 출하량은 800~1000만 대로 예상됩니다. LG디스플레이는 아이패드 전용 라인, IT 패널 경쟁력, Two Stack Tandem 양산 경험 등을 바탕으로 점유율 우위를 가져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24년 OLED 아이패드용 패널의 예상 점유율은 LG디스플레이가 약 60~70%, 삼성디스플레이가 약 30~40%입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첫 8.7세대 신규 라인은 25년부터 셋업 시작 후 26년 양산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OLED 패널 적용한 맥북 프로 모델은 27년에 출시할 것으로 전망되고, 8.7세대 양산 라인 일정 고려 시 첫 번째 OLED 맥북 모델은 삼성디스플레이가 점유율 우위 가져갈 것으로 판단됩니다. 

 

※8.7세대 OLED 패널 : 유리 원판 크기가 2290x2620인 제품입니다. 원장이 크면 스마트폰 등 특정 규격 OLED 패널로 분리해 제조할 시 생산량이 기존보다 많아지고 버리는 부분이 줄어들어 면취 효율 및 생산성이 높습니다.

 

 

기업실적 및 매수의견

LX세미콘 연결실적 추이 및 전망
LX세미콘 연결실적 추이 및 전망

 

올해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작년과 비슷하거나 살짝 하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24년도부터는 넓은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PER 9.19배, PBR 2.11배로 주가가 저평가 구간인 것으로 확인됩니다. 고객사 재고물량 소진과 함께 아이폰용 DDI, 아이패드용 DDI 등 성장 모멘텀도 이번 연도와 내년에 예정되어 있고, 차트 또한 바닥확인 후 정배열로 상승 중이어서 단기적으로 조정 올 때 진입하면 좋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이 글은 종목추천 글이 아닌 초보투자자의 기업 분석 및 정리글이오니 참고만 해주시길 바라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