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국내주식

로보 스타 주가전망 (LG전자 관련주, 로봇 관련주)

워렌주니어 2023. 9. 11. 17:28
반응형

대표이미지

최근 로봇 테마가 이차전지 다음 주도주로 부각되면서 로봇 관련주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대기업들은 로봇회사를 인수하면서 로봇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대비 중인데요. LG는 로보스타를 인수하여 로봇시장공략 준비 중에 있습니다. 오늘은 로봇관련주이자 LG전자 관련주인 로보스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주요 사업


2. 최근 이슈 정리


3. 기업실적 및 매수의견

 

주요 사업

로보스타는 1999년 산업용 로봇 제조를 목적으로 설립하여, 전방위 산업의 제조용 로봇 공급을 위한 Robot 사업 부문과 공정장비 및 로봇 기반의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는 System Engineering 사업 부문으로 구분됩니다.

로보스타 주요 사업

로보스타가 영위하는 주 사업은 제조시설의 투자를 대상으로 하는 수주사업으로 전방산업의 투자 환경에 따라 매출액의 영향을 받으나, 디스플레이, 자동차 산업 외 2차 전지 및 반도체 산업용 제품의 매출 비중을 확대함에 따라 특정 산업의 투자 환경에 따른 리스크를 줄이는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축하였습니다.


로보스타는 올해 혁신적인 생산성 개선 활동과 품질 강화 및 원가구조의 재정비 등 회사의 전반적인 경쟁력을 강화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수익성 개선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지속적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외부 협력 강화와 중장기 사업 고도화를 위한 R&D 로드맵 수립 등 체계적인 미래 준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사업부문멸 매출액
사업부문별 매출액

 

최근 이슈 정리

카이스트 세계 최초 휴머노이드 파일럿 개발 소식에 로보스타 사외이사 부각

로보스타 사외이사로 재임 중이 심현철 카이스트(KAIST) 교수 공동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비행 조종 매뉴얼을 읽고 이해해 비행기를 직접 조종하는 인간형 로봇을 개발, 이를 실용화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당시 언론보도에 따르면 연구책임자인 심현철 카이스트 교수와 주재걸, 윤국진, 김민준 교수가 참여한 공동연구팀이 일반적인 언어로 작성된 조종 매뉴얼을 읽고 이해하는 '자연어 처리기반 인간형 조종사 로봇을 개발했습니다. 인공지능(AI)과 로보틱스 기술을 적용해 인간형 로봇이 실제 항공기 조종석에 착석해서 기존 항공기를 전혀 개조하지 않고 착석한 다음 조종석의 다양한 장치들을 직접 조작해 비행하는 방식입니다.

 

기존 항공기의 자동비행장치(오토파일럿)이나 무인 비행만 가능한 무인항공기와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관련 연구진이 개발 중인 조종사 로봇은 인간 조종사에게는 불가능한 전 세계 항공차트(Jeppson Chart)를 전부 기억해 실수 없는 조종이 가능합니다.

 

특히 최근 큰 이슈가 된 챗GPT 기술을 활용해 항공기 조작 매뉴얼·비상 대처절차를 담은 자료(QRH)를 기억,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항공기의 비행 상태를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안전한 경로를 계산할 수 있어 인간 조종사보다 훨씬 빠르게 비상 상황에 대처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조종사 로봇은 현재 비행 조종 시뮬레이터에서 항공기의 시동부터 택싱, 이착륙, 순항, 주기 등 모든 조작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팀은 조종사 로봇을 실제 경비행기에 적용해 항공기를 직접 조종해 검증할 계획입니다.

 

뉴스링크 : https://www.moneys.co.kr/news/mwView.php?no=2023071910095548190 

 

[특징주] 로보스타, 카이스트 세계 최초 휴머노이드 파일럿 개발 소식에 사외이사 재임 부각 - 머

로보스타 주가가 강세다. 심현철 카이스트(KAIST) 교수 공동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비행 조종 매뉴얼을 읽고 이해해 비행기를 직접 조종하는 인간형 로봇을 개발, 이를 실용화할 계획이라고 밝혔

www.moneys.co.kr

대기업들과 협력하는 로봇회사

삼성전자를 필두로 대기업들이 알짜 로봇 회사와 손잡는 등 ‘합종연횡’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로봇을 ‘제2의 먹거리’로 찍은 기업들이 기술력을 확보해 로봇 시장에서 선두 주자를 차지하기 위한 행보로 분석됩니다.
 
삼성전자는 지난 15일 레인보우로보틱스 보통주 91만 3936주를 주당 3만 400원에 장외매수했다고 16일 공시했습니다. 이로써 삼성전자의 레인보우로보틱스 지분율은 10.22%(194만 200주)에서 14.99%(285만 4136주)로 늘었습니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 1월 레인보우로보틱스 지분 10.22%를 590억 원에 샀습니다.

삼성전자는 이번 계약에서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최대 주주로 올라설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계약에는 삼성전자가 6년 내 최대 주주 등을 대상으로 콜옵션을 행사할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삼성전자가 개인 최대 주주인 오 CTO 등 7명에게 보유 주식 전량을 넘기라고 요구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콜옵션 행사로 이들의 지분 전량(855만 439주)을 얻을 경우 삼성전자 지분율은 59.94%가 됩니다.

삼성전자는 신성장동력인 로봇 사업에 힘을 주고 있습니다. 우선 올해 안에 시니어 보조 로봇 ‘EX1’을 출시할 계획입니다.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은 전날 열린 주주총회에서도 “향후 본격화할 로봇 시대에 대한 선제 대응을 강화하겠다”며 “다양한 로봇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강화하고 고객 생활에서 유용함을 체험할 수 있는 제품 개발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찌감치 로봇 시장에 뛰어든 현대자동차도 알짜배기 로봇 기업들을 인수하고 있습니다. 현대차는 지난 2021년 미국 로봇 업체인 보스턴다이내믹스를 인수했습니다. 보스턴다이내믹스는 4종 보행 로봇 ‘스팟’과 직립 보행 로봇 ‘아틀라스’ 등을 개발한 기업입니다.

현대차는 국내에선 로봇용 감속기 부품 기업인 SBB테크에 관심을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SBB테크는 국내 최초로 정밀 로봇 감속기를 개발한 곳입니다. 감속기는 로봇 관절을 움직이게 하는 핵심 부품으로 꼽힙니다.

협동로봇 기업인 뉴로메카도 대기업들이 인수전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업계에서는 한화와 포스코ICT를 유력 후보자로 꼽고 있습니다. 뉴로메카는  공장 등에서 사람과 상호 작용하며 일할 수 있는 소형 로봇인 협동로봇에 주력하는 곳입니다.

LG전자도 지난 2018년 일찌감치 산업용 로봇 기업인 로보스타를 인수했습니다. 로보스타는 디스플레이와 반도체 등 제조 공장에 쓰이는 수직 다관절 로봇 등을 만듭니다.

 

뉴스링크 : https://finance.naver.com/item/news_read.naver?article_id=0005102483&office_id=009&code=090360&page=&sm=title_entity_id.basic 

 

뉴로메카·레인보우·로보스타…대기업들이 찜한 로봇 회사 : 네이버페이 증권

레인보우로보틱스 휴보2. 【사진 제공=레인보우로보틱스】삼성전자를 필두로 대기업들이 알짜 로봇 회사와 손잡는 등 ‘합종연횡’이 잇따르고 있다. 로봇을 ‘제2의 먹거리’로 찍은 기업들

finance.naver.com

 

 

기업실적 및 매수의견

로보스타 재무제표
출처 : N페이 증권

일단 현재 흑자가 나오고 있다는 것은 긍정적이지만 영업이익률과 ROE가 낮아 아직 수익성이 낮은 것으로 보입니다. PER도 168.33배로 현재 고평가 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하지만 다른 기업들은 아직 적자라 그나마 다른 기업들보다는 나은 상태입니다.

 

삼성전자와 협력 중인 레인보우로보틱스나 한화와 협력 중인 뉴로메카에 비해 LG와 어떤 부분에서 MOU를 체결하고 사업을 진행할 것인지 구체적인 상황이 안 나왔지만 비슷하게 협동로봇을 단체 급식이나 제조업에서 활용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로보스타 일봉
출처 : N페이 증권

일목균형표상 구름대를 뚫고 120일선도 강한 거래량을 동반하면서 뚫은 것으로 보아 당분간 상승을 이어나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따라서 이 순간에 조정은 좋은 매수타이밍이 될 거라고 생각하는데요. 조정이 끝나고 다시 올라가는 것을 확인하고 진입하면 단기적으로는 수익을 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투자하고 싶은 마음이 안 들긴 하네요. 다른 로봇주들에 비해 경쟁력이 없는 것 같습니다.

 

이 글은 종목추천 글이 아닌 초보투자자의 기업 분석 및 정리글이오니 참고만 해주시길 바라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