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방법

주식 매매에서 필수로 확인해야될 4가지 항목(실적, 수급, 차트, 재료)

워렌주니어 2024. 2. 21. 23:55
반응형

대표이미지

 

투자하고자 하는 기업 관련 4가지 항목을 확인하여 각각 점수를 매기고, 종합 점수가 좋다고 판단되면 해당 종목을 계속 가져가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2개 이상의 항목에서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면 좀 더 지켜본 후에 매매를 결정해야 합니다.

 

목차

1. 실적


2. 수급


3. 차트


4. 재료

 

실적

기업 분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기본적인 분석입니다. 매수하기 전에 이 기업이 어느 정도의 가치가 있고, 얼마만큼의 수익을 낼 수 있는지를 알아야 합니다. 즉, 실적이 중요합니다. 실적이 점차 좋아지고 있는지,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성장을 할 수 있는지 파악해야 합니다. 실적을 판단할 때에는 몇 가지 지표가 필요합니다.

안전성 확인
안전한 기업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자기 자본 대비 부채의 비율을 나타내는 부채비율이 200%를 넘는 기업은 안전하다고 볼 수 없습니다. 하지만 부채비율이 200%를 넘는 기업이 대다수이기 때문에, 200%를 과하게 넘어서지 않는 수준이면 큰 걸림돌이 되지 않습니다.

반대로 부채비율이 너무 낮은 기업이 무조건 좋은 기업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그 이유는 부채가 낮다는 것은 그만큼 레버리지 활용을 할 수 없다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성장성 확인
기업의 성장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기업의 성장성은 ROE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CAN SLIM 법칙으로 유명한 월가의 투자자 윌리엄 오닐의 저서에서도 ROE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ROE가 연 15% 이상인 기업은 투자하기에 적합한 기업입니다. 단기투자를 주로 하시는 분들은 1년 단위가 아닌 분기별로 확인하면 됩니다. 즉, ROE가 3분기 이상 꾸준히 15% 이상인 종목이면 성장성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수급

국내 증시의 큰손인 외국인, 기관, 국민연금, 투자신탁의 매매 동향을 확인해야 합니다. 각 투자자별로 투자성향을 확인하고 있어야 합니다. 외국인은 주가가 하락할 때매수하고, 상승하면 매도합니다.

반면, 기관은 주가가 하락할 때는 매수하지 않고, 상승할 때 실적을 어느 정도 확인하고 매수합니다. 대부분의 개인투자자는 기관이 매수한 후에 이어서 매수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관이 매도하면 주가가 하락하면서 개인투자자는 손해를 보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개인투자자도 외국인 투자자처럼 기관보다 빠르게 매수해야 합니다.

 

차트

차트를 확인해야 합니다. 투자하기 좋은 차트를 판단하는 기준은 콕 기법, 삼중바닥, 옷걸이 기법, 스키 매매 기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긍정적인 신호를 찾는 것입니다.

 

 

재료

재료는 뉴스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만약 긍정적인 재료가 많이 나온다면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과거와 달리 현재는 정보의 비대칭성이 많이 없어졌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정보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보 수집 능력만으로 주식투자를 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정보를 분석하는 능력입니다.

정보의 강도를 판단하는 기준은 재료와 매출과의 연관성입니다. 매출과의 연관성이 높을수록 정보의 강하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매출과의 연관성을 파악하는 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재료가 매출에 끼치는 영향이 단기적인지, 중기적인지, 장기적인지까지 파악해야 합니다.

 

 

반응형